Top Guidelines Of 최상위노출

신도비는 화강암의 방형 기단 위에 세워져 있는데 월두형의 비신에 투구형의 옥개(屋蓋)가 조각된 것이 특징적이다. 성종군 어세겸이 찬하고, 안심서의 전액으로 되어 있는 비문은 거의 마모되어 확인되지 않으며 정장공신도비명(貞에壯公神道碑銘)이란 전액이 확인될 뿐이다. 묘역은 일반인의 출입이 제한되는 미군부대 내에 위치하고 있다.

계절을 알리는 화분식물로서 일반적인 것은 매화·복숭아·벚꽃·진달래 ·개나리 등이다. 이 중에서도 가장 일찍 봄을 알리는 것은 개나리이다.

신석기시대는 인류의 생활에서 농경·목축·정착생활이 이루어지는 시기로서 특히 농경생산을 바탕으로 잉여생산이 가능해져 인구가 크게 증가하던 시기이다. 신석기시대의 유적은 주거지, 무덤, 패총 등이 대표적이며 한강, 대동강, 두만강 등의 하천유역에서 많이 발견되었다.

남쪽에는 탑동요지와 아랫낙우마을 사지 등이 위치한다. 이곳은 민가 주변의 소규모 경작지로 채소 등이 재배되고 있는데 경작지와 인접한 소로변에서 질그릇편이 수습되었다. 조사 당시 경작이 이루어져 자세한 상황은 알 수 없으나 도로와 인접해 있고 배산임수의 지형을 갖춘 점으로 미루어 조선시대 건축 관련 유적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동두천은 삼방로 상에 위치한 지리적 입지로 말미암아 금강산 지역으로 여행 하는 풍류객들의 교통로였고 아울러 소요산을 찾는 시인 묵객들의 탐승처였으 므로 풍광좋은 곳에 위치한 가정자(柯亭子)는 이들 여객과 탐승객들에 의하여 동두천 지역을 대표하는 명소로 소문이 났고 그 결과 이담면 지역의 대표 지명 으로 각종 자료와 고지도에 등재되었던 것 같다.

③ 분포-동두천시 전 지역 길가 ④ 용도-어린 새순을 나물로 먹으며 한방에서는 안 질(眼疾), 소염, 장염, 이뇨 등에 약재로 사용한다.

자기편과 질그릇편이 수습된다. 자기는 양 각대접편으로 추정되는 청자편과 분청사 기 저부편 등이 출토되었다. 색상은 모두 짙은 회녹색조로 어두운 편이다. 함께 수 습된 질그릇편은 흑회색으로 대부분 경질 소성되었다. 격자문의 내박자와 동심원 형태의 내박자 등 다양한 형태의 제작수 법이 나타난다.

즉, 아래의 예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어두 음절 위치에서 장모음의 ‘ㅔ:’ 는 ‘이:’로, 마찬가지로 장모음의 ‘ㅓ:’ 는 ‘ㅡ:’로 실현된다. 이러한 현상은 한자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곳은 안골마을의 중앙에 해당되는 곳으로 민가와 창고 등이 밀 집되어 있다. 수습된 유물은 질그릇이 대부분 인데 표면에 잿물이나 녹유가 시유된 조선 후 기의 항아리가 대다수를 차지한다. 유물산포지의 위치나 주변의 환경을 통해 볼 때 조선시대의 건물지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척박한 땅을 가리지 않고 곱고 예쁜 꽃이 피고 한방과 민간에서 이뇨, 건위, 거담 등의 약으 로도 쓰이니 가히 부처님의 품성까지 닮았다고 볼 수 있다. ③ 분포-동두천시 왕방계곡 ④ 용도-식용, here 관상용, 약용

북부 화강암지대는 경기도의 서울 부근 관악산·소래산을 기점으로 포천·김화군을 지나 금강산 서북을 거쳐 통천군에 이른다.

생뿌 리나 잎으로 술을 담가 몇 개월 동안 우려서 먹 으면 각종 성인병에 좋다고 한다. ③ 분포-동두천시 왕방산 ④ 용도-혈압을 낮추고 간의 열을 내려주는 작용이 있으며 항암효과, 진통억제, 류머티스, 관절염 등에 약재로 쓰인다.

④ 용도-열매를 먹으며 술을 담기도 하며 민간 에서 지사, 지혈 등에 약재로 쓰인다.

탑동 동점마을 암각문을 지나 어유소 장군 사당으로 향하다 보면 마을 갈래길이 나오는데, 이곳에서 좌회전하면 청풍 김씨 묘역에 이른다. 묘역은 통정관 김기연과 부인인 순흥 안씨의 합장묘로 상석과 향로 석을 제외하고 봉분에 두른 호석, 묘표, 망주석 등은 최근에 조성되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